전체 글25 spring boot를 사용한 게시판 만들기(4): 게시글 추가, 수정, 삭제 Create 게시판 목록까지 만들어 보았고 다음은 게시글을 작성하는 페이지를 만들어 보자. 게시글을 쓰기 위해 해당 버튼을 누르면 글 쓰는 페이지로 가게 해줘야 한다. 위 게시글 목록을 출력하는 list.html에서 글쓰기 버튼을 누르면 /post 에 해당되는 url로 가도록 설정했다. 이를 위해 먼저 post.html을 만들고 Controller를 통해 /post 의 url로 가면 post.html 파일을 보여주도록 해보자 제목 작성자 내용 @GetMapping을 통해 위에서 수정 버튼을 눌렀을 때 가는 url을 받아 처리하는 메서드를 만들어 보자. 로직은 상세 페이지와 같다. id를 받아와 DB에서 같은 id값을 가지는 게시글 객체를 가져와 모델로 edit.html에 뿌려준다. 제목과 작성자는 잘 가.. 2024. 4. 16. spring boot를 사용한 게시판 만들기(3): 게시판 목록 출력 게시판 화면을 띄우기 위해 html파일을 가져와 보자. 부트스트랩을 사용하기 위해 build.gradle파일에 dependencies 설정을 추가해 줘야 한다. resources/templates/board 폴더를 만들어 list.html 파일을 넣어두자. # 제목 작성자 내용 글쓰기 모든 화면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헤더 파일인 header.html 은 resources/templates/common 폴더에 저장해줬다. 게시판 이제 사용자가 localhost:8080 으로 들어가면 게시판 목록이 화면에 나오도록 BoardController 메서드를 만들자. MVC localhost:8080 로 들어가면 @GetMapping 을 통해 위 메서드를 실행하게 된다. 컨트롤러가 "board/list" 문자열과 .. 2024. 4. 6. 스프링 빈과 의존 관계 / Why DI ?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응답을 주기 위해 게시판 컨트롤러를 구현해 볼 건데 그러려면 게시판 컨트롤러가 게시판 서비스와 게시판 리포지토리를 사용할 수 있게 의존 관계를 준비해야 한다. 생성자에 @Autowired가 있으면 스프링이 연관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찾아서 넣어준다. 이렇게 객체 의존 관계를 외부에서 넣어주는 것을 DI (Dependency Injection ), 의존성 주입이라 한다. 이대로 돌리면 오류가 발생하는데 스프링 컨테이너에 BoardService가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이 BoardService의 존재 자체를 몰라서 발생하는 오류이다. (그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가지 방법으로 등록할 수 있다 컴포넌트 스캔과 .. 2024. 4. 5. spring boot를 사용한 게시판 만들기(2): 백엔드 개발 https://sonnyday.tistory.com/14 에서 데이터로 게시판 번호, 게시글 제목, 작성자, 내용을 사용한다 했다. 이를 게시판 객체로 먼저 만들자. 게시판 도메인 package board.boardspring.domain; public class Board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content; private String author;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Title() { return title; } public void setTitle(String title.. 2024. 4. 4.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