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무료]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 김영한 - 인프런
김영한 | 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반을 빠르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학습 첫 길잡이! 개발 공부의 길을 잃지 않도록 도와드립니다. 📣 확
www.inflearn.com
위 강좌를 공부하고 공부한 내용을 체득하기 위해 또 기본적인 CRUD를 맛보기 위해 직접 간단한 게시판을 만들기로 했다.
먼저 게시판을 만들기 위해 사용할 기술들을 정리해봤다.
백엔드 부분으로는 웹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 tomcat을 내장한 spring boot를 사용할거고 데이터를 저장할 데이터베이스로는 연습용으로 많이 쓰이는 h2를 사용할거다.
- 개발 환경 : IntelliJ IDEA
- 개발 언어 : Java
- 프레임워크 : Spring
- Web : spring boot(tomcat), thymeleaf
- 데이터베이스 : H2, Jdbc
- 빌드 도구 : Gradle
프론트 부분은 다 까먹어서 아래 블로그를 참고해 그대로 따라했다.
https://kyuhyuk.kr/article/spring-boot/2020/07/19/Spring-Boot-JPA-MySQL-Board-Write-Post
https://kyuhyuk.kr/article/spring-boot/2020/07/19/Spring-Boot-JPA-MySQL-Board-Write-Post
kyuhyuk.kr
게시판을 만들기 위해 사용될 데이터와 기능들을 정리해봤다.
데이터는 게시판 번호, 게시글 제목, 작성자, 내용으로 했고
기능으로는 게시글 목록/작성, 조회, 수정, 삭제로 기본적인 CRUD이다.
웹 애플리케이션 구조로는 강좌에서 배운 일반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사용했다.
데이터 객체는 도메인에 두고
게시판을 위한 핵심 비즈니스 로직들(게시글 추가, 조회, 수정, 삭제)은 서비스에
DB에 접근해 데이터를 관리하는 건 리포지토리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응답을 주는 것은 컨트롤러에 작성할 것이다.
사용할 기술과 구조를 살펴봤으니 이제 개발 환경을 구축해보자.
start.spring.io에 가서 스프링을 사용하기 위한 파일을 받자.
프로젝트 환경 설정은 그대로 따라하면 되고 Dependencies로는 본인이 사용할 기술에 따라 추가해주면 된다.
다운받아서 압축 풀고 IntelliJ로 파일을 열어준다. 처음 실행하면 이것저것 다운받느라 조금 걸리는데 기다려 주면 알아서 필요한 것들이 받아져있다. 다운이 끝나면 main함수를 실행 시켜주고 localhost:8080으로 들어가보면 spring boot가 웹 서버를 열어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 처럼 에러페이지가 뜨면 웹 서버 구축은 잘 된거다.
데이터 베이스에 사용될 H2 데이터 베이스 설치와 연결은 위 스프링 강의 자료의 6번 스프링 DB 구축에서 영한님이 자세히 설명했으니 참고해 그대로 따라하면 된다.
게시판을 만들기 위한 환경 준비는 이걸로 끝이다.
이제부터 게시판의 기능을 하나씩 만들어보자.
'Spring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를 사용한 게시판 만들기(4): 게시글 추가, 수정, 삭제 (0) | 2024.04.16 |
---|---|
spring boot를 사용한 게시판 만들기(3): 게시판 목록 출력 (1) | 2024.04.06 |
spring boot를 사용한 게시판 만들기(2): 백엔드 개발 (0) | 2024.04.04 |